교육학

인간에 대한 앎에서 나오는 교육과 수업 (302a)

루돌프 슈타이너 교육학 4 / 1920, 1922, 1923 슈투트가르트
  • 지음
    루돌프 슈타이너
  • 옮김
    최혜경
  • 원제
    Erziehung und Unterricht aus Menschenerkenntnis
  • 쪽수
    294쪽
  • 크기
    136 × 210 mm
  • ISBN
    9791186202883 (03370)
  • 출간일
    2024-12-10
  • 정가
    20,000 원
  • 분야
    교육학,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 주문하기

    온라인주문


책 소개 

루돌프 슈타이너가 슈투트가르트에서 최초 발도르프학교 교사진을 대상으로 3년에 걸쳐 행한 9회의 강의 내용, 독일어 완역본 출간

이 책에는 교육과 수업은 아동과 청소년 발달에 따라 요구되는 교사와 양육자의 자세, 의향에 있다는 내용이 하나의 실마리로 이어진다. 1부 총 4회 강의는 「명상으로 이루어 낸 인간학」으로 불리며 단행본으로도 출간되어 발도르프 교육학 기본 강의로 알려진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앎』 다음으로 많이 읽히는 책 중에 하나다. 2부 총 2회 강의는 사춘기 교육 문제를, 3부 총 3회 강의는 발도르프학교 교사상에 관해 이야기 한다.

 

이 책은 무등자유발도르프학교의 서원을 함께하고 개교 10주년을 축하하는 분들의 후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목차

루돌프 슈타이너의 강의록을 읽기 전에  
일러두기  

1. 명상으로 이루어 낸 인간학

첫 번째 강의 ⦁ 1920년 9월 15일   
지식의 가치
아이들과 함께 학년을 올라가는 교사 자신의 발달에 대한 느낌
교사의 의향과 학급에 있는 다양한 분위기의 지각

두 번째 강의 ⦁ 1920년 9월 16일
사춘기에 드러나는 인간 구성체의 다양한 발달
조형적-건축적인 것과 언어적-음악적인 것의 관계, 그리고 인간 형상 발달을 위한 그 의미
회화적-소묘적인 것에 들어 있는 다양한 힘의 작용에 관하여

세 번째 강의 ⦁ 1920년 9월 21일  
언어 과정, 그리고 색채 체험에 대한 언어 과정의 관계에 관하여
오이리트미의 본질
명상의 의미에 대하여

네 번째 강의 ⦁ 1920년 9월 22일
인간 조직에 나/Ich가 결합하는 과정에 대한 관계에서 예술적 교육, 그리고 그에 해당하는 방법론적 고찰
음악, 언어, 역사, 소묘 수업의 예

 

2. 사춘기의 교육 문제와 수업의 예술적 구성

첫 번째 강의 ⦁ 1922년 6월 21일 
세계에 대한 관심 부재의 표현인 권력욕과 성애
수학 수업으로 밝히는 추상성과 그림 성격 
성애 다루기

두 번째 강의 ⦁ 1922년 6월 22일 
아동 개인성에 대한 경외감
방법론적 원리로서 그림 성격
교사와 학생 사이의 올바른 권위 관계

 

3. 소명으로서의 교사 직업

첫 번째 강의 ⦁ 1923년 10월 15일  
오늘날 교사의 전제 조건
생동하는 방법론을 위한 동기 부여
수업이 지루하게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

두 번째 강의 ⦁ 1923년 10월 16일 
교육에서 소실된 치유 성격, 교육과 치유가 다시 연결되어야 하는 불가피성
진실과 거짓, 건강과 질병의 개념에 관하여
열정과 책임감

세 번째 강의 ⦁ 1923년 10월 16일 
정신이 직접 개입하는 효과로서 인간 움직임
교사의 세 가지 얼굴
‘시대에 맞추거나’, ‘진실 속에 살기’

 

슈투트가르트 발도르프학교 교사진에 전한 명상 화두
루돌프 슈타이너의 생애와 작업
옮긴이의 글

 

작가 소개 

루돌프 슈타이너 Rudolf Steiner

1861~1925. 오스트리아 빈 공과대학에서 물리와 화학을 공부했지만 실은 철학과 문학에 심취해 후일 독일 로스톡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바이마르 괴테 유고국에서 괴테의 자연 과학 논설을 발행하면서 괴테의 자연관과 인간관을 정립하고 심화시켰다. 이후 정신세계와 영혼 세계를 물체 세계와 똑같은 정도로 중시하는 인지학을 창시하고, 제 1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추종자들의 요구에 따라 철학적, 인지학적 정신과학에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학문 분야를 개척하기 시작했다.
인지학을 근거로 하는 실용 학문에는 발도르프 교육학, 생명 역동 농법, 인지학적 의학과 약학, 사회과학 등 인간 생활의 모든 분야가 포함되며, 이 외에도 새로운 동작 예술인 오이리트미를 창시하고, 연극 예술과 조형 예술을 심화 발달시켰다. 자연 과학자 헤켈, 철학자 하르트만 등 수많은 철학자, 예술가와 교류한 슈타이너는 화가 칸딘스키, 클레, 에드가 엔데, 작가 프란츠 카프카, 스테판 츠바이크, 모르겐슈테른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위스 도르나흐에 세운 괴테아눔은 현대 건축사에 중요한 한 획을 그은 건축물로 손꼽힌다. <루돌프 슈타이너 전집>으로 출판되고 있는 슈타이너의 저작물과 강연집은 현재 약 360권에 이른다.

 

역자 소개 

최혜경

본업은 조형 예술가인데 지난 20년간 인지학을 공부하면서 루돌프 슈타이너의 책을 번역해 왔다. 쓸데없는 것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 그림 그리고 번역하는 사이사이에 정통 동종 요법을 공부했다. www.liilachoi.com

저서_
『괴테 동화 명상집』, 『유럽의 대체 의학, 정통 동종 요법』

번역서_
『자유의 철학』, 『신지학』 , 『발도르프학교와 그 정신』, 『죽음, 이는 곧 삶의 변화이니!』, 『인간 자아 인식으로 가는 하나의 길』, 『꿀벌과 인간』, 『내 삶의 발자취』, 『학교 보건 문제에 관한 루돌프 슈타이너와 교사 간의 논의』, 『7~14세 교육 예술』, 『청소년을 위한 교육 예술』, 『자연 과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 I - 광학』, 『교육 예술 1,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앎』, 『교육 예술 2, 발도르프 교육 방법론적 고찰』, 『교육 예술 3, 세미나 논의와 교과과정 강의』, 『발도르프 특수 교육학 강의』, 『사회 문제의 핵심』, 『사고의 실용적인 형성』, 『인간과 인류의 정신적 인도』, 『젊은이여, 앎을 삶이 되도록 일깨우라!』, 『정신과학적 인식에 따른 의술 확장을 위한 기초』, 『감각세계와 정신세계』, 『인지학-영혼학-정신학』, 『윤곽으로 그린 신비학』, 『인지학적 기본 원칙』

 

책 속에서

명상으로 이루어 낸 인간학

첫 번째 강의  교사와 과학자는 완전히 다를 수밖에 없는데도 다름 아니라 바로 교사를 과학적 기준에 맞추어 양성합니다...

 

두 번째 강의  여러분도 알고 있듯이 전인은 나/Ich, 아스트랄체, 에테르체, 육체를 포괄합니다. 인간 존재의 이 네 구성체는 함께 균일하게 발달하지 않습니다...

 

세 번째 강의  모든 이해는 신경-감각 체계가 아니라 리듬 체계를 통해서 매개된다는 것입니다...

 

네 번째 강의  인간을 그 성향에 따라 고찰하고, 그렇게 얻은 앎을 성장하는 인간에게, 아이에게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옮긴이의 글

...이 책에는 교사를 위한 ‘좋은 말씀’으로 가득하다. 그런데 외관상 그럴 뿐이다. 루돌프 슈타이너의 강의 내용은 모두 강의 참석자들과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관계에서 생겨난 것이다. 이는 그가 건드린 모든 사항이 예외 없이 그곳에 있었던 어떤 사람과 직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의록을 읽으면서 ‘얼마나 훌륭한 말씀인가!’ 하는 생각에 그친다면, 그것은 자신과 무관한 제삼자의 이야기로 말 껍데기만 이해한 것이다. ...

?

  1. 인간에 대한 앎에서 나오는 교육과 수업 (302a)

  2. 사춘기

  3. 괴테 동화 명상집

  4. 자유의 철학 (GA4)

  5. 인지학적 기본 원칙 (GA26)

  6. 윤곽으로 그린 신비학 (GA13)

  7. 윤곽으로 그린 신비학 (GA13) (큰글씨)

  8. 감각 세계와 정신세계 (GA134)

  9. 감각 세계와 정신세계 (GA134) (큰글씨)

  10. 아픔과 상실의 밤을 밝히는 치유 이야기

  11. 발도르프학교의 형태그리기 수업 + 형태그리기 1~4학년(전2권)

  12. 자연 과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 I - 광학 (GA320)

  13. 첫 1년 움직임의 비밀

  14. 청소년을 위한 교육 예술 (GA302)

  15. 인지학-영혼학-정신학 (GA115)

  16. 정신과학적 인식에 따른 의술 확장을 위한 기초 (GA27)

  17. 김준권의 생명역동농법 증폭제

  18. 푸른꽃

  19. 살아있는 지성을 키우는 발도르프학교의 공예 수업

  20. 7~14세를 위한 교육 예술 (GA3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